사업
2021-09-03
조직 내 성희롱 예방, 리더인 나부터 실천하기
위드유 서울직장성희롱성폭력예방센터는 서울특별시청소년시설협회와 공동주관으로 2021년 9월 1일, 서울지역 청소년시설 기관장 대상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을 열었습니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교육에는 37개 서울시 청소년센터 기관장이 참여했습니다.
서울특별시청소년시설협회는 2020년 11월 17일, 위드유센터와 공동기획으로 <성희롱·성폭력 고충상담원 전문교육>을 진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고충상담원 전문교육 참여 이후, ‘성희롱·성폭력 예방지침’ 재개정을 위한 문의 전화가 많았고, 청소년센터 내 성희롱·성폭력 예방을 위한 사건처리 절차에 대한 문의도 많았습니다. 작년의 열기에 이어, 올해는 법적으로 직장 내 성희롱 예방과 금지의 책임을 가진 사업주(기관장) 대상 특별교육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교육에서는 △성희롱·성폭력 관련 법 이해 및 사업주의 책무, △ 직장 내 성희롱 개념 및 예방지침, △젠더폭력 사안 발생 시 사내 고충처리 절차 및 단계별 행동요령이 다루어졌습니다. 조직의 리더로서 스스로의 성인지감수성과 조직문화를 돌아보고, 사업주가 성희롱 예방을 위해 이행해야 하는 책무, 사건 발생 시 단계별 행동요령에 대해 박윤진 노무사(위드유 조직문화개선 컨설팅 전문위원, 지영노무법인 부대표)와 조목조목 짚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특히, “고충사안 처리 액션플랜” 워크숍에 대해 참가자의 만족도가 높았습니다.
참가자와 함께 한 고충사안 처리 액션플랜 결과
사건 인지 단계 | 피해자 면담 과정 | 공식적인 단계 진행 중 | 사건종료 이후 |
---|---|---|---|
- 사건의 개략적 내용 파악 - 피해자, 행위자, 목격자 등 사건 관련자 파악 - 어떻게 처리할지 고충처리단계 점검, 기관 규정 확인 | - 성인지감수성에 기반한 공감적 경청 - 사건파악 및 피해자가 원하는 사건처리 방향 확인하기 - 기관의 사건처리 절차 안내 - 피해자가 상담받을 수 있는 전문기관 소개 - 피해자의 심리적 안정 - 2차피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 | - 피해자를 안전하게 보호 - 피해자와 가해자 분리 조치 - 내부인사와 외부인사로 고충처리위원회 구성 - 사실관계 확인을 위한 조사 - 조사진행 후 인사위원회 또는 심의위원회 개최 - 심의결과에 맞는 조치 시행 | - 재발방지를 위한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진행 - 피해자 등 사건관련자의 회복 지원 - 성희롱 예방을 위한 지침과 절차 마련 - 2차피해 예방 |
참가자 소감
"감수성이 높으면 시야가 넓어진다. 전혀 생각해보지 못했던 관점이라 새롭게 다가온 것 같습니다."
"기관장의 책무에 대해 더 명확하게 인지하게 되었습니다."
"일상에서 쓰는 말들을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조심해서 해야겠다고 깨달았습니다."
"예방교육과 조직환경 조성이 더욱 필요할 것 같습니다."
향후 위드유센터는 서울시 청소년시설 중 희망 기관을 대상으로 <‘성희롱·성폭력 등 예방지침’ 및 ‘서약서’ 모범안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기관장의 역량 강화에서 더 나아가 조직 구성원 전원과 공유하는 성희롱 예방지침이 마련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소규모 기관에서는 리더의 성인지 감수성이 조직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사업주의 역량강화, 위드유 서울직장성희롱성폭력예방센터와 함께라면 가능합니다. 협회 등에서 요청 시 일정 협의하여 사업주 예방교육을 무료 개설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