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2022-03-18
대응 준비 : 증거 수집 - 입증자료 확보
직장 내 성희롱 피해 대응에 대비하여 입증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증거 수집 방법을 안내합니다.
1. 순식간에 일어난 터라 이렇다 할 증거가 없어요. 어떻게 행위자가 성희롱을 했다는 걸 입증할 수 있을까요?
직장 내 성희롱 사건은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부지불식간에 발생합니다. 그래서 미리 알고 증거자료를 확보할 수가 없는 것이죠. 그렇다고 실망하지 마세요. 당신이 가장 중요한 증인이며, 증거입니다.
▲첫 번째, 사건일지를 육하원칙에 의거하여 작성해 보세요.
불쾌한 기억을 떠올려 작성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나 꼭 필요한 일이기 때문에 그냥 넘길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객관적 증거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신빙성 있는 진술이 가장 큰 입증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관성 있는 진술을 위해서라도 일지 작성은 꼼꼼히 하고, 그날의 일이 그림 그려지듯 보이면 신빙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덧붙여 감각적 언어, 예를 들어 신체의 일부를 만진 경우 ‘주물럭 주물럭’ 했는지, 그냥 터치를 했는지 등 그 상황을 보다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누가, 언제, 어디에서, 무엇을, 어떻게, 왜"
사건을 구체적으로 적은 일지나 일기 또는 온라인 비공개 게시글 등 모두 포함
▲두 번째, 직장 내 성폭력(강제추행이나 강간 피해)사안이라면 바로 증거를 보존해야 합니다.
해바라기센터를 통해 옷 등에 남은 DNA를 채취하거나 지문 등을 확보하고, 여의치 않을 경우 사진을 찍어서라도 증거(상처 부위나 멍 등)를 남기시기 바랍니다. 또한 바로 직접 병원에 가서 진료 기록을 남기셔도 좋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증거 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니 주저하지 마시고 행동에 옮기시기 바랍니다.
▲세 번째, 사건 이후 행위자와 통화 시 녹취하시기 바랍니다.
사건이 발생하면 자의든 타의든 행위자와 통화할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통화 시에는 사건의 구체적인 피해 내용을 언급하고, 녹취합니다. 대화 시 두루뭉술한 표현은 녹취하더라도 도움이 안 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내 목소리가 들어간 대화 녹취는 법적으로 허용되며, 녹음 내용은 추후 법적 분쟁이 있을 때 증거자료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네 번째, 사건을 증언해 줄 조력자를 확보하세요.
사건을 목격한 사람, 사건 내용을 들은 사람을 증인으로 확보하고, 녹음이나 확인서를 받아두면 도움이 됩니다. 직장 상사나 동료에게, 아니면 친구에게 상담을 할 수도 있는데 그 내용도 잘 저장해 두시길 바랍니다.
단, 사건을 얘기할 때는 대화 내용이 타인에게 유출되어 명예훼손으로 역고소 될 위험이 없도록 비밀유지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또한 직장 내 성희롱 상담기관에 상담을 진행하였다면 상담확인서 발급도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가족이나 친구, 비밀 유지가 가능한 동료와의 메신저 대화 등 기록도 모두 포함
▲다섯 번째, 그 외 방법으로 증거를 확보하세요.
사건이 발생하면 행위자와 대면하거나 전화 통화하는 것은 꺼려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더라도 무조건 거부하기보다 메신저, 문자메시지, 이메일 등을 통해 행위 사실을 알리고 사과를 요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내용증명을 발송하여 행위 사실을 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CCTV가 있는 장소인지 확인하고 영상자료를 확보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사건 발생 이후 정신과 치료나 심리상담을 받았다면 진료확인서나 상담확인서 등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사건이 발생하면 무엇부터 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합니다. 먼저 여성단체 등 상담기관에 문의하시면 같이 고민하고 같이 준비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상담기관이 필요합니다.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함께 해결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 더 알아보기
➔ 상담 기관 찾기 : 서울시 소재 성희롱 · 성폭력 피해지원기관 안내
글쓴이 : (사)서울여성노동자회 신상아 회장